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3

대만 여행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예류지질공원에 다녀왔다 대만 여행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예류지질공원에 다녀왔다 미디어를 통해서 몇 번 봤을지도 모르는, 혹은 대만 여행을 계획하게 되면 꼭 한 번은 듣게 되는 예류지질공원에 다녀왔다. 이곳이 유명한 이유는 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형성된 신기하고 기이한 모양의 암석 때문이다. 사실 가기 전에는 별로 관심 없었지만 막상 보니 꽤 신기했던지라 포스팅을 해본다. 예류지질공원 나는 투어로 왔는데 봉봉 투어에 걸려서 엄청 즐거웠다. 아무튼 타이베이 메인스테이션에서 약 40분 걸려 도착. 여름에 왔다면 양산은 필수다. 정수리가 빨갛게 익고싶지 않다면 말이다.    길을 따라 천천히 걸어들어가니 보이는 암석들. 버섯들이 솟아있는 것 같아 웃기다. 이 암석들은 천년에서 길게는 2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침식과 풍화 작용으로 이.. 2024. 12. 12.
서울 여행 내가 먹어본 감바스 중 가장 맛있었던 홍대 연남동 감바스 맛집 엘비스텍(테라스 반려견 동반가능) 서울 여행 내가 먹어본 감바스 중 가장 맛있었던  홍대 연남동 감바스 맛집 엘비스텍(테라스 반려견 동반가능) 홍대 연남동 골목에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감바스 맛집이 있다. 여기저기 많은 집의 감바스를 먹어봤지만 이곳의 감바스만큼 맛있는 집은 없었다. 반층 아래에 있는, 들어가면 왠지 한국 같지 않은 곳 엘비스텍을 소개한다. 엘비스텍 7테이블 정도 되는 작고 아담한 내부. 세련되지는 않았지만 그래서 더욱 이국적이다. 엘비스텍은 바깥 테라스에서도 식사가 가능하다. 테라스에서는 반려견 동반이 가능해서 강아지와 함께 온 손님들도 있었다.  우리는 감바스와 해산물 빠에야를 주문했다. 감바스는 15,500원, 먹물 빠에야는 34,000원이었다. 거기에 샹그리아까지!   식전빵과 수프가 정말 맛있었는데 핸드폰으로는 .. 2024. 12. 11.
대만 타이베이 여행 대만 최대 전통 재래시장 디화제 거리 대만 타이베이 여행 대만 최대 전통 재래시장 디화제 거리 디화제 거리에 대해 검색해 보면 나오는 '타이완 전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전통 재래시장' 타이틀. 하지만 이렇게 말하면 잘 감이 안 오니 조금 풀어서 설명해 보자면 한국 재기동의 약령시장을 생각하면 된다. 물론 디화제는 그보다 규모도 크고 중간중간 예쁜 카페들이 있다는 점은 다르지만 말이다.   디화제 거리 길을 잘 모르겠다면 조말론을 우선 찾아보자. 그리고 조말론의 정문을 마주보고 오른편 길로 쭉 가면 된다. 우리는 오전 일정으로 조금 지쳤으니 우선 카페부터. 태풍으로 많은 카페들이 문을 닫았었는데 열려있는 곳 중 가장 가까운 곳으로 향했다.   작은 내부의 카페. 사장님께서 정말 친절하시고 중간에 에스프레소 한 잔도 먹어보라며 서비스로 주셨다... 2024. 12. 10.
대만 여행 지우펀 땅콩 아이스크림 위치와 가격 그리고 솔직한 후기 대만 여행 지우펀 땅콩 아이스크림 위치와 가격 그리고 솔직한 후기 대만 타이베이 여행코스에서 빠질 수 없는 지우펀. 지우펀에는 수신방 펑리수, 미스티 누가크래커, 우유스틱 등등 돌아다니면서 먹을만한 여러 주전부리가 있다. 그중에는 땅콩 아이스크림도 있는데 오늘은 그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정확한 상호명은 '아주언니 땅콩 아이스크림'이다.  아주언니 땅콩 아이스크림 지우펀은 골목골목이 복잡하기도 할 뿐 더러 그 사이에 가게들이 엄청 많으니 외관을 잘 기억해 놓고 찾는 것이 비교적 편하다. 다행히도 아주언니 땅콩 아이스크림은 메인 길에 있어서 찾기가 어렵지는 않다. 오르골 가게에서 위로 계속 직진하다 보면 오른편에 위치해 있다. 오르골 가게와 가까우니 잘 보면서 올라가자. (샛길이나 작은 골목으로 빠지지 말.. 2024. 12. 9.
서울 크리스마스 카페 러프러프 아뜰리에(RUFRUF)에서 잔잔한 연말을 보냈다 서울 크리스마스 카페 러프러프 아뜰리에(RUFRUF)에서 잔잔한 연말을 보냈다 서울에서 조용히 크리스마스를 즐길 카페를 찾고 있다면 꼭 추천하고 싶은 곳이 있다. 바로 안국역 근처, 종로구 계동에 있는 러프러프 아뜰리에. 날씨가 화창하던 며칠 전이었다. 종로 일대를 누비다가 슬슬 따뜻한 커피 한 잔이 생각나던 차, 우연히 발견해서 들어간 카페였다. 밖에서 본 케이크도 무지 맛있어 보였달까?   러프러프 아뜰리에의 외관. 원목 인테리어와 크리스마스 장식이 잘 어울린다. 입구 문이 굉장히 커서 촌스럽게 뭐야 뭐야 하면서 들어갔다.  바로 옆에는 소금집델리, 바로 앞에는 런던 베이글이 있어서 겸사겸사 다른 곳을 한 번에 들리기도 좋은 위치.   들어가자마자 왼쪽으로 보이는 대왕 크리스마스트리. 트리는 보는 것.. 2024. 12. 5.
대만 여행 타이베이 메인 스테이션 물품 보관함 정보 대만 여행 타이베이 메인 스테이션 물품 보관함 정보여행에서, 특히 첫날과 마지막날에는 물품보관함이 굉장히 절실하다. 숙소의 체크인아웃 시간과 비행기 시간이 맞지 않으면 시간이 붕 뜨게 되는데, 그때 물품보관함 찾는 것을 실패하면 뜬 시간 동안 캐리어와 함께 일정을 소화해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거리가 노후화된 도시에서는 정말 고역인데 대만은 캐리어를 끌고 다니기에 좋은 환경은 아니다. 물론 호텔 등 짐보관이 가능한 숙소면 그게 베스트지만 짐보관이 안되거나, 바로 숙소로 가지 않는 경우에도 역시 물품보관함이 필요하다. 그래서 들고 온 타이베이 메인 스테이션의 물품 보관소의 정보. 여행에서 유용하게 쓰이기를! ++중간중간 필요한 정보들이 많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타이베이 메인 스테이션 물품 보관함 위치 .. 2024. 12. 3.
속초 양양 근처 조용히 쉴 곳을 찾는다면 이색 온천 카페 설온으로 가보자 (마당 반려견 동반 가능) 속초 양양 근처 조용히 쉴 곳을 찾는다면 이색 온천 카페 설온으로 가보자 (마당 반려견 동반 가능) 겨울과 더불어 첫눈까지 왔으니 겨울 여행을 계획해 보자. 자고로 눈 구경하면 강원도. 강원도 여행하면 속초! 속초, 양양 근처에 온천이 흐르는 것을 알고 있나요? 그리고 그곳의 온천 목욕탕을 개조해서 카페로 만들어 운영하는 곳이 있는 것을 아시나요? 속초 도착 직전, 온천 카페 설온에 들러 잠시 쉬고 간 날을 포스팅해 본다.  카페 설온 눈이 많이 쌓여 조심조심 겨우 도착한 카페. 카페 뒤쪽으로 주차장 공간이 크게 있다. 들어가자마자 정말 모든 것이 목욕탕 그대로라 신기했다. 우리 뒤로 보이는 수도꼭지들.   음료 메뉴는 평범했고 디저트로는 온천 카스테라와 온천 푸딩이 있었다. 나는 푸딩을 별로 안 좋아해.. 2024. 12. 1.
강원도 겨울 여행 인제 속삭이는 자작나무 숲 그리고 준비물 강원도 겨울 여행 인제 속삭이는 자작나무 숲 그리고 준비물 첫눈이 내렸다. 슬슬 겨울 여행을 준비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 소개할 겨울 여행지는 바로 강원도 인제에 있는 '속삭이는 자작나무 숲'. 사계절이 모두 다 예쁜 이곳은 특히 여름과 겨울이 가장 아름답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겨울의 자작나무 숲을 소개해보기로 한다. 인제 속삭이는 자작나무 숲 겨울의 자작나무 숲은 말 그대로 눈에 보이는 온 풍경이 다 새하얗다. 바닥에 쌓인 눈도, 자작나무의 줄기도 온통 하얗다. 평소에는 쉽게 볼 수 없는 비현실적인 모습에 신기함 가득.   인제 속삭이는 자작나무 숲의 이용 정보는 아래와 같다. 주소: 강원 인제군 자작나무숲길 760 자작나무숲 안내소겨울 개방: 11월-2월입산 시간: 9:00-14:00운영 시.. 2024. 11. 28.
대만 코스모스 호텔 총요빙 맛집이자 아침식사까지 하기 좋은 倪記鍋貼 대만 코스모스 호텔 총요빙 맛집이자 아침식사까지 하기 좋은 倪記鍋貼  대만 타이베이 메인스테이션에 있는 코스모스 호텔에 묵고 있다면 꼭 가봐야 할 맛집이 있다. 바로 호텔 바로 옆에 있는 倪記鍋貼(ni ji guo tie). 식당 이름 뒤 두 글자는 군만두라는 뜻이다. 이름 그대로 만두 전문점이기도 하면서, 대만에서 꼭 먹어야 할 '총요빙'도 있다. (이 집 총요빙이 굉장히 맛있다) 또한 오전시간대에는 아침식사도 가능하니 은근 자주 들리게 되는 곳. 정말 우연히 간 곳인데 너무 맛있어서 코스모스 호텔에 머무는 내내 들락거렸다.  倪記鍋貼 위치 식당의 위치는 타이베이 메인스테이션 M3출구에서 나오자마자 좌회전을 해서 15초 거리에 있다. 지도를 보면 코스모스 호텔과도 정말 가깝다.    위의 간판이 보이면.. 2024. 11. 27.
반응형